•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minjunkaaang님의 글

서브넷을 제공하는 고정 아이피 서비스가 있을까요?

회원님의 사진
  • minjunkaaang
  • 댓글: 1
  • 조회: 1,943

안녕하세요.

이번에 사무실에서 BGP over GRE를 구축하게 되면서 서브넷을 제공하는 고정아이피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오피스넷(LG)의 고정 아이피 서비스와 KT의 오피스 IP 팩을 사용해 보았는데, 이 두군데는 모두 /29 서브넷에 그 중 하나만 제공하는 형식이더라구요.

지금 저희는 특정 서브넷(/29, /30 등)을 전체 다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서브넷의 게이트웨이를(라우터는 저희 기존 장비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저희가 직접 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상품이 필요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KT의 기가오피스 상품이 가장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것도 최소 200M에 25만원부터인데다 1Gbps를 쓰려면 80만원을 내야 하니... 부담되는건 매한가지더라구요.


혹시 이 외에 다른 상품이 있을지 해서 여쭤봅니다.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안녕하세요? 백메가의 이수빈이라고 합니다 (--)(__)
    와우! 이 얼마나 오랜만에 접하는 서브넷팅(?) 개념인가요 ㅎㅎ

    애석하게도 백메가 게시판이 '가정용 인터넷'만을 취급하고 있기에
    기업용으로 분류되는 오피스넷이나 고정아이피 부가서비스 등에 대해서는 전문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ㅠㅜ
    하지만 제가 아는 지식선상에서 최대한 답변드리는게 인지상정이겠지요~?

    1. 통신사에서 고정아이피 자산을 임대할 때에는 -말씀해주신 것처럼- 서브넷 블럭을 특정하기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소호비즈 인터넷 회선은 전용회선(dedicated)이 아닌 공유회선(shared) 방식을 택하는데요~
    이 공유회선의 종단에 위치한 수용국 라우터가 특정 1개 호스트(가입자)를 위해 서브넷 전체(/24)를 내어주기에는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즉, 종단 라우터가 특정 호스트만을 위해 전체 블럭을 할당하려면 전용회선 서비스를 이용해야만 합니다.


    2. 궁극적으로 민준강님의 니즈는, 터널링을 통해 복수 원격지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형성하길 원하시는 듯 합니다.
    극단적으로 말해 VPN과 진배없는 개념이겠지요?
    그런데 이는 '포트설정'의 문제이지 넷마스크와는 관계가 없지 않나 싶습니다.
    서브넷팅은 극단적으로 말해 "어딘가에서 라우터로 패킷이 올 때,
    패킷 목적지가 내가 관리하고 있는 아이피테이블의 안/팎 중 어디에 속해있느냐?"를 구별하기 위함에 불과합니다.
    (물론 너무 극단적이긴 하네요 ㅎㅎ)

    하여 원하시는 니즈의 프로토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이 '서브넷'인지 아니면
    다른 무엇인가인지 재확인해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이에 대해 라우터 제조사(아마 CISCO 제품을 사용하시겠죠?)등에 자문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3. 긴 글을 정리하자면 :
    - 기업용 인터넷은 크게 소호비즈용과 엔터프라이즈용으로 이원화되는데
    - 전자는 공유회선, 후자는 전용회선 방식을 쓰기 마련입니다.
    - 원하시는 니즈를 충족하려면 후자의 방식을 택해야 하나, 천문학적(?)인 요금이 발목을 잡게 되죠.
    - 하지만 말씀해주신 프로토콜 구축과 서브네팅이 하등 관계없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시나요~?
    저희 게시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는 영역이 아니긴 하나, 일말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머리 숙여 감사합니다^^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