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983 페이지
  • 후니후니님의 글

500메가 KT 인터넷 무선 속도 100프로 활용하기

회원님의 사진
  • 후니후니
  • 댓글: 1
  • 조회: 7,888

유선으로는 500메가의 속도 약 46MB/s 의 속도로 잘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쓰고 있는 공유기는 아이피타임 A6004NS-M 입니다 


무선 속도는 절반인 23MB/s의 속도로 나오는데 이게 기술적인 문제라는 부분을 구글링 검색을 통해 알게 되었씁니다. ( 하프 듀플렉스? 풀 듀플렉스?)

그렇다면 무선으로도 유선의 속도만큼 나오게 하고 싶은 상황입니다.


차례대로 질문에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어떤 공유기를 써야하는지 기술적인 부분으로 알고 싶습니다.


2. KT에서 임대해주는 공유기로도 가능한지?


3. 아이피타임 사의 공유기로 가능한지 ?


4. 공유기가 아닌 다른 전자기기를 추가로 설치해야되는지?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안녕하세요 후니후니님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 ღ'ᴗ'ღ )♡

    아하, 와이파이 속도향상을 위해 검색하시다가 여기까지 방문하게 되셨나보군요ㅎㅎ
    여러가지 문의를 주셨는데 제가 이야기를 리드해 말씀드려보아도 괜찮겠지요?
    이 안에 궁금하셨던 내용들이 모두 포함되있을 겁니다.

    그럼 차근차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어디선가 글을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무선(802.11xx) 인터넷은 태생적으로 속도가 잘 나올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① 유선신호를 -> 802.11xx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 데다,
    전체 패킷중량의 30%가 '패킷오버헤드'라 잃는 속도가 꽤 많아 유선만큼 속도가 나올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무선으로 무언가를 전송하는 건 3차원의 공간에다가,
    지정된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으니 매우 도전적이고 모험적인 행위입니다.

    그래서 공유기가 보낸 신호를 단말기가 수신받는 과정은 꽤나 복잡하기 마련이고요
    통신의 최소 단위인 "패킷"에 통신실패를 대비해
    이러저러한 정보를 덕지덕지 붙여야만 하고 이 정보들은 결국 "크기"를 차지하는데
    그 크기가 패킷크기의 30% 전후나 됩니다^^;
    이렇게 과하게 붙은 패킷을 ' 패킷 오버헤드'라 부르지요.

    데이터 크기가 무거울수록 당연히 전송 속도는 떨어지니
    와이파이 속도는 유선(이더넷)에 비해 속도가 잘 나오지 않는 게 당연하답니다😰


    ② 측정 값도 주변 요인에 의해 변화무쌍합니다.
    쉽게 말해 무선은 회절성(장애물을 피하는 힘)이 떨어지기에
    거리가 멀거나 + 장애물이 있거나 + 간섭이 있으면 힘을 쉽게 잃어버린다는 겁니다.

    일례로 무선속도를 내가 어디서 측정하냐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 걸 테스트해보시면 아실 거에요!
    공유기와 최대한 가까이 측정하면 속도가 조금 더 잘 나오고, 아니면 덜 나오게 되는 거죠^^;


    ③ 와이파이 주파수에 따른 차이도 있습니다.
    우리가 쓰는 와이파이는 2.4Ghz 이랑, 5Ghz <- 이렇게 두 가지가 있잖습니까?!
    주파수 숫자는 높을수록 속도가 빠릿하지만, 멀리까지 나가는 힘이 줄어듭니다.

    즉.. 2.4Ghz는 속도가 살짝 약한대신, 멀리까지 나갈 수 있지만
    5Ghz는 속도가 빠른대신, 멀리까지 퍼지진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거죠^^;
    하여 측정하실 때 어떤 주파수를 잡고 측정하셨는지도 중요하고요~

    2.4Ghz는 워낙 멀리까지 퍼지기 때문에
    이웃집의 2.4Ghz이랑 주파수가 겹쳐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심지어 전자레인지 파동과도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기에 간섭이 심합니다ㅠ
    그래서 웬만하면 5Ghz를 사용하시는 편이 빠릿빠릿하고요
    위에 말씀드린 특수성들 때문에 유선만큼의 속도를 구현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랍니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선속도를 조금 더 뽑아내고자 하신다면?!

    ① 최대한 공유기와 가까운 거리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하시거나
    (공유기와 단말기간의 거리/간섭으로 인한 속도편차를 줄이는 방법인 거죠)

    ② 성능이 짱짱한 비싼 공유기를 구매하시거나

    ③ Mesh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공유기를 여러 대 둬서 쓰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Mesh란,
    복수의 공유기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합치고,
    상대적으로 더 강한 신호를 내는 공유기에 순단이나 지연시간없이 빠르게 연결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공유기 A에서 -> B로 넘어갈 때 빠른 핸드쉐이크를 통해 순단이나 지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에요
    그야말로 현대과학기술의 꽃이지요ㅎㅎ

    주의사항으로는,
    기본적으로 같은 제조사 + 같은 핸드오버 아키텍처 모델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예시로 ASUS의 Mesh와 IPTIME의 Mesh는 호환되지 않으니 동종 모델로 구매하셔야 해요 (이종은 불가합니다)


    그리고 공유기 스펙(성능)은 와이파이 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좋은 공유기를 구매하시는 게 좋을텐데요!
    특정 제품을 추천드리기는 어렵습니다 ㅠ
    제품 취사선택의 옳고 그름은 가격 대 만족도가 딱맞게 정비례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개개인의 취향, 감성, 예산에 대한 심리적 장벽 등에 따라 상대적인 만족감을 선사하기 마련 이니까요!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전자제품이라면
    대부분 최신의 + 고사양의 + 고단가의 제품일 수록 만족도도 높은 법이니
    이 점을 기억하셔서 제품을 구매하시면 좋겠습니다 :-)

    (참고로 통신사 임대 공유기는 무난한 엔트리급(!) 모델을 제공하는 지라
    확실한 퍼포먼스를 기대하시려면 시중에 판매되는 공유기를 구매하시는 게 좋답니다~!)




    3. 음.. 그런데 본질적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한 통신 니즈는,
    얼마나 빠릿하게, 지연이나 순단없이 웹 페이지, 메신저, 게임 서버가 응답하냐가 대부분이니,
    측정속도(정확히는 대역폭)가 얼마나 나오는 지는 큰 연관이 없을 것이에요.

    우리가 고용량 대역폭 통신이 필요한 때는
    영화, 드라마, 게임을 내려받을 상황들에 한정되는데
    이는 스마트폰이 아닌 데스크탑에서 이루어지는 게 대부분이니까요!

    물론, 댁에서 데스크탑이 아닌 노트북을 주로 이용하시고,
    인터넷 연결방식도 이더넷이 아닌 와이파이를 잡아서 사용하신다면 이 속도가 무척 중요하게 생각되실 텐데요~

    이 때는 위에 언급해드린 세가지 방법을 고려해보시거나,
    고용량 파일을 업/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에만 유선(이더넷)연결해서 수급받는 방법을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외의 통신에서는 와이파이 속도가 크게 중하지 않으니 말이지요~!


    --------------------------

    요약하자면
    1) 무선속도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습니다ㅠ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선속도를 더 뽑아내고자 하신다면
    공유기와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하시거나, 고스펙의 공유기를 구매해 사용하시거나, Mesh 지원 공유기를 구매해 써주세요!
    3) 그런데 본질적으로 고용량 파일을 업/다운로드 받는 일이 아니라면 속도는 큰 상관이 없으실 거에요.
    와이파이를 통한 통신니즈는 대체로 대역폭보단 얼마나 빠릿하게 응답하느냐(ping)가 중요하니까요ㅎㅎ

    이렇게 정리되겠군요~!
    여기까지 저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라고요 :)
    백메가는 인터넷 가입유치를 업으로 삼고 있는데 다음에 기회가 되어 인터넷 가입이 필요하실 때에도 찾아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문의게시판
  • 983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