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3 페이지
  • Cellularhacker님의 글

[후기] KT & SKB & LG U+ 3사 이용하게 되면서 느낀점

회원님의 사진
  • Cellularhacker
  • 댓글: 1
  • 조회: 6,163

안녕하세요 Cellularhacker입니다.

 

100mb에서 딱히 후기글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소소하게나마(?) 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우선 제 방의 벽 단자부터 소개합니다.

  - 싱글모드 OS2 광케이블 8가닥이 들어가있는 케이블 <8개 중 1개 - KT>

  - CAT.6 UTP 케이블 <SK Broadband>

  - CAT.5E UTP 케이블 <LG U+>

 

이렇게 회선이 뽑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저희 빌라의 경우, SK Broadband와 LG U+는 FTTB방식으로 설치가 되어서, 부득이하게(?) UTP를 쓰고 있습니다.

wz_1028306779_78ceda5280541617bc24402205502395.jpg
 

 

 

이 선들은 어디론가 이어져(?) 아래의 사진에 있는 통신랙의 장비에 꽂힙니다.

지금은 SKB, LG U+, KT 유선 각 1회선과 KT LTE 1회선 을 Load-balancing(부하분산) 및 회선 하나가 죽었을때에, 다른 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백업망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Google서비스와 Netflix서비스는 pfSense라는 오픈소스 방화벽(UTM)에서 LG U+를 먼저 나가도록 설정해두었습니다.

(3사중에 Google Global Cache 가 가장 잘 되어있는 통신사이기 때문이죠;;)

wz_1028306779_55a6e3e8d23cd3bbe44eedee0ef9caf5.jpg
 

 

아래는 8 Core 광케이블을 보호하고 있는 8포트 광 단자함입니다. 주로 이런건 빌라 MDF실 등에 있지 집안에 있지는 않죠 ㅎㅎ;

wz_1028306779_4df2f5556c9963e22196fdc89e6dff12.jpg
 

 

 

 

2. 세대 단자함(댁내 단자함)

  - 언젠가 시간이 되면 찍어올리겠습니다; 지금은 랜선 두개는 각각 커플러로, 광케이블은 8가닥 중 2가닥을 광융착기로 융착하여 MDF실까지 내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MDF실

 - 케이블 색상별로 표시를 하였습니다. 보기가 살짝 어렵긴 하네요.

 - 저희 빌라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광단자함 별 수용가능 광케이블 회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KT : 8/8 모두 사용(E-PON; Up: 1.25Gbps/Down: 1.25Gbps)

     LG U+ : 1/4 사용(FTTB장비, E-PON; Up: 1.25Gbps/Down: 1.25Gbps)

     SKB : 1/4 사용(FTTB장비, G-PON; Up: 1.25Gbps/Down: 2.5Gbps)

   충분히 SK와 U+에서도 광케이블로 넣어줄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안해주는지는 (왠지 알 것 같지만) 이야기를 안해주시네요 ㅠㅠ

   우선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저희 빌라에서 U+는 저희집밖에 현재 사용하는 집이 없어서 사실상 FTTH와 같은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_<)

wz_1028306779_45ce51fd578ba3854453d0e788679890.jpg
wz_1028306779_2078dc34ac2c3bd67554090094dc8ee2.jpg
 

 

 

 

4. Q.결론 그래서 설치 후기는??????

    A. 조금 깁니다.

 1) KT - ADSL부터 함께해온 친구이자 동반자(?)인데 비싸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사용해보니 ....... 비싸면서도 울며 겨자먹기로 KT를 사용할수 밖에 없네요. KT가 백본망의 여유도 좋고, 특히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광케이블의 지분율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해외서비스(Github, Stackoverflow 등)를 사용하는 저에게는 선택권이 없는 듯 합니다...

 2) LG U+ - 소유한 미국으로 가는 광케이블이 없는것 치곤 정말로 Google Service가 빠릅니다. 매일 NAS를 증분백업하는데도 불구하고, Upload는 느리겠지-? 했지만 실제로는 엄청나게 빨랐습니다.

 3) SK Broadband - ...일단 광케이블 하나(G-PON; Up:1.25Gbps/Down:2.5Gbps)를 4개의 집이 같이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그럭저럭입니다... KT랑 LG는 심심찮게 900Mbps 이상 속도 측정이 되는데, SK는 기사님께서 측정 장비로 측정하실때 빼고는 500~700Mbps 내에서 왔다갔다 하는 것 같습니다. SK우선적용하여 우회해서 사용중인 트래픽이 없어서 아쉽게도 실 사용기는 조금 더 후에나 올려야 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_ _)

 

+ 추신) 저 사진에 보이는 난장판 때문에 (선이 얽혀있다가 인터넷 고장나는게 싫어서(...)) 이 모든 삽질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체 댓글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Cellularhacker님~!?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여러번 찾아주셨던 Cellularhacker님이시군요..!
    게시판을 눈팅(?)하다 뵌 기억이 납니다.

    인터넷 가입을 앞두고 어떻게 이용할지 고민이 많으셨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결국 3사 통신사 모두 사용하는 편으로 결정하신거겠죠?
    엄청난 후기도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간만에 눈호강했어요 +_+
    (후기글을 원치 않는다고 말은 하고 있지만.. 사실 모두 좋아합니다ㅎㅎㅎ)
    덕분에 몇몇 동료분들과 옹기종기 모여 찬찬히 사진도 살펴보았답니다.


    그나저나 일반 가정집에서 랙을 구축하고 있는 모습은 처음봤네유
    예산의 제약을 무릅쓴다면 배트맨 비밀기지화(?)가 가능하다는 산증인이시군요 ㄷㄷ 부럽습니다.

    확실히 KT에 비하면 나머지 1계위 통신사들의 ONT 제공률은 역부족해요;;
    그~~나마 최근의 공동주택은 일관된 관로, 정보통신등급제도, 사전설비시공 덕분에
    ONT 방식의 아파트도 적지 않지만.. 아파트를 제외한 저층 주택들은 요원한 일이지요ㅠ


    헌데.. 구글의 서비스 IDC 접속이라면
    비간 LG유플러스 뿐만 아니라 나머지 1계위들도 비등비등할 겁니당
    (어차피 아-태 리전중 하나가 대한민국에 위치해있으니^^;;;)
    사용자별 편차는 그저 설치위치(라우팅 경로), 수용국(국사) 상황,
    종단 스플리터나 라우터들 스펙차이로 야기될 것이라 생각되어요.

    물론 넷플릭스는 LG유플러스가 진리 중 진리입니다ㅎㅎ
    (캐시서버 덕분이겠쥬~?)


    아마 느낌적인 느낌엔(?) 댁내에서 서버운영을 하고 계신 듯하네유
    설~~~마 항온항습기도 돌리시는 건 아니겠지요~!? +_+

    후기 남겨주셔서 싸..싸랑합니다♡
  • 문의게시판
  • 검색어: 후기
  • 3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