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반 가정용 인터넷과 기업용 인터넷(오피스넷)의
통신사별 맥(MAC) 주소 제한을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알기론 KT의 경우 일반 가정집은 최대 8개, 기업용 오피스넷은 최대 14개로 알고 있어요
저는 백메가의 이루다라고 하구요~~!!^ㅁ^)//
이렇게 게시판에서 인사드리게 되어 반갑습니다~~♡
아하~~!!
맥 제한, 즉 공인IP 할당에 대해 문의주셨는데요~~!!
말씀해주신 것이 얼추 정확한 숫자입니다요~~☆
다만….!! 오늘날 가정용 인터넷 회선은 원칙상....!!
1개 가입자 회선당 1개의 공인아이피(퍼블릭 IP)를
할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ㅎㅎㅎ
물론 원칙과 별개로~~!! 여러 대 디바이스에
DHCP 서버 요청을 통해 공인IP를 할당받는 것이
물리적으로는 가능하지요~~!!
허나 어디까지나 이는 회색지대(유연성) 영역이기에
어느 시점에서든
1) 트래픽 이용량, 2) DHCP 할당량 등을 토대로!
KFI(통신트래픽품질관리)에 의한 QoS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또한 가정용 인터넷의 경우~~?!
공인아이피 문제는 차치하고....!!
인증수 제한조치(= 추가단말서비스)에 의한 QoS까지
염두에 두어야 하다보니….
다수의 공인IP를 할당받는 용도로는 부적절합니다;;;
ㄴ 추가단말 서비스 : 왜 여러대 컴퓨터로 인터넷을 못 해?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26104
쉽게 말해서~~!! 가정용 인터넷은~~?!!
공인아이피를 얼마나 할당받느냐 문제와 더불어….!!
(공인아이피 or 사설아이피 할당과 관계없이)
회선 내 연결된 디바이스 총량 (PC 단말 대수)까지!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ㅂ^a
한편 기업용 인터넷은~~?!
아시다시피 좀 더 유연~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물론 원칙상…!! 1개 회선에 1개의 공인아이피를
할당한다는 규정은 동일합니다….ㅎㅎㅎ)
그 중에서 가장 유연한 통신사는 KT로,
약 14개 내외의 공인아이피 할당도 가능하긴 하나!
위 가정용 인터넷과 마찬가지의 논리로….
언제든 QoS를 통한 제재를 당할 가능성이 있습지요;;;
(좀 더 과거(?)에는 약 50여개의 공인아이피 할당이
가능했으니, 이미 한번 큰 조정이 들어간 것이지요)
참고로~~!! SK와 LG는 약 2개 내외의 공인 아이피
할당이 가능합니다. (물론... 규정상 1개입니다;;;)
또한 이 모~~든 상황은!!
수용국(국사) 정책에 의해 가변적일 수 있습니다...;;;;
------------------------------------------
tmdgns****님~~!!^ㅂ^)//
일반적으로 : 복수의 공인아이피 할당을 위해서는~~?!
ISP에 DHCP 요청을 개별적으로 하는 것보다는,
사설 VPN 장비/체계를 구매(혹은 임대)하는 것이
무난합니다요~~!!
ISP의 회색지대를 이용한 고정아이피 자산은~~?!
IPv4 주소가 바뀔 확률이 내포되어 있고, QoS에 의한
제약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보니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요기까지... 제 안내가 도움 되었기를 바라구요~~!!
기업용 (혹은 가정용) 인터넷 가입을 원하신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말씀해주시겠어요~~?!^ㅇ^bb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