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KT 500메가 인터넷을 쓰고 있습니다만
속도가 20~35메가 정도밖에 안나옵니다. (무선인터넷 사용, fast.com 측정)
500메가가 나오는 것은 바라지도 않습니다.
이것도 하도 느려서 최근에 100메가에서 500메가로 올린 겁니다.
(KT에서 추천)
KT에 신고해서 기사가 방문해도 아무런 속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뭐, 인터넷만 하자면 저 속도도 괜찮..을수도 있지만
가끔 사진이 90년대 말 속도로 로딩되기도 하고
넷플릭스 같은 OTT를 사용하면 화질이 구리고 (좋아지는데 시간이 좀 걸립니다)
프로야구, 축구 같은 실시간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면
계속 끊기고 화질도 좋지 않습니다.
인터넷은 약정도 끝났고, 약정이 남았다하더라도
속도만 나온다면 이전할 생각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
아이고.. 인터넷 속도문제로 기사님이 방문하셨는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설명이 조치를 받지 못하셨나보군요;;!
일부러 인터넷 요금제까지 500메가로 업그레이드 하셨는데
한편으론 억울하실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듭니다ㅠ
1. 그런데.. buscat님께서 측정하신 방법은 전체 인터넷 품질을 대변하진 못합니다;;!!
와이파이(무선통신)은 애초에 half-duplex 통신을 취하기 때문에
가입한 인터넷 요금제의 절반 정도밖에 속도가 안나오는 게 대부분이구요~
이 절반이라는 속도는 공유기 코앞에서 속도를 측정했을 때 기준입니다.
와이파이는 회절성까지(장애물을 피하는 힘) 떨어지기 때문에
공유기와 거리가 먼 방에서는 속도가 그만큼 적게 나올 수 밖에 없거든요 ㄷㄷ
물론, 공유기 스펙(성능)이 짱짱하면 거리가 멀어도 비교적 속도를 잘 뽑아주기도 하지만,
사용하시는 공유기 성능이 떨어진다면 당연히 와이파이 품질도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2. 그리고 fast.com은 넷플릭스 서버와 <-> 우리 집까지의 속도를 확인하는 사이트입니다.
과거 넷플릭스는 사용자들로부터 속도가 느리다는 원성을 많이 받았는데
억울했던 넷플릭스가 "속도가 느린 건 우리 잘못이 아니라 각 나라 통신사(ISP)잘못이오!" 라며
속도측정 사이트를 직접 개발해 공개했고, 이 사이트가 바로 fast.com 인 것이거든요!
즉... fast.com 을 통해 측정하시면
넷플릭스 서버 <-> 우리 집까지의 속도를 확인하는 것이고...
이 속도 측정 결과 역시 넷플릭스 동시접속자수나, 트래픽수에 따라 천차만별이라서요!
단순 넷플릭스 속도 참고용으로만 봐주셔야 합니다.
3. 정석대로 속도를 측정하려면~?!
1) 유선(이더넷) 연결된 PC로
2) 속도측정하는 PC외의 다른 인터넷 사용이 없는 상태에서 하셔야 하고요
3) 속도측정 사이트는 국내에 서버가 위치한 벤치비나 NIA, 통신사 속도측정 툴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이 중 정확도는 벤치비가 가장 괜찮으니 한 번 확인해보시길 바라겠고요~!
4. 혹시 집안에서 유선이 아닌,
"무선인터넷(와이파이)"를 주로 사용하신다면 공유기 성능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공유기도 컴퓨터와 다를 바 없이 cpu들어가고, 메인보드 들어가고, 메모리 들어가는 하드웨어라
성능이 어떤지에 따라 보여주는 퍼포먼스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에요.
만약 저의 추정대로 와이파이 공유기 성능이 문제라면..!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시더라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건 매한가지라서요! ^^;
여기까지 제가 추정한 상황들이 맞는지 몇 가지를 먼저 짚어보고 싶습니다.
1) 우선 알려드린 방법대로 유선PC 속도를 측정해봐주시겠습니까?
유선속도가 정상인지부터 판별할 필요가 있어서 요청드립니다.
2) 제 추측대로 집 안에서 유선보단 무선을 위주로 사용하시는지도 궁금하고요~
3) 공유기와 자주 사용하는 단말기(PC, 태블릿, 휴대폰)과의 거리는 대략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도 알려주세요!
(EX. 공유기는 거실에 있고 단말기는 보통 휴대폰만 쓰고, 가끔 노트북도 씁니다.
방에서 주로 쓰는데 거실과 3M정도 떨어진 것 같네요 등)
4) 사용하시는 공유기 모델명과 사용하신 지 얼마나 되었는지
(공유기는 안테나가 달린 장비이며, 보통 밑면에 모델명이 적혀있습니다)
5) KT기사님이 다녀가셨을 때 어떠한 조치들을 해주셨었는지
(EX. 모뎀 재부팅 및 교체 / 데스크탑 확인 등)
이렇게 총 다섯가지 질문에 화답으로 맞이해주시면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도록 곁에서 차근차근 도와드리겠습니다~!
그럼.. 이번엔 제가 buscat님의 회신 기다리겠습니다~
1) 유선 속도
- 업로드: 97.64
- 다운로드: 93.22
- 지연시간: 5.41ms
2) 집 안에서 유선을 사용하는 기기는 1대 입니다.
- 무선사용 기기: TV(1), 노트북(2), 스마트폰(2), 아이패드(1)
- 유선사용 기기: 시놀로지 NAS (별도 IPtime공유기에 물림, 사용량 적음, 거의 sleep 상태)
3) 공유기는 거실에 위치, 노트북1은 방에서 사용(3~4m), 노트북2는 거실에서 사용
4) 공유기: 링크시스 MR7350 / 구매한지 3개월 이내
5) KT기사님은 거실의 랜선 접촉이 좋지 않다는 말씀을 하셨고
방에 나와있는 랜선을 사용하는 게 좋겠다고 했지만 그렇게 해도 별 차이 없었습니다.
모뎀 등은 재부팅한 것 같습니다.
우선 최근 구매하신 공유기 모델을 보니 새로 구매하신 것인만큼 최신형이고 쓰시는 데 전혀 문제가 없어보이네요!
그런데.. 유선속도가 100메가 속도에 락(lock)이라도 걸린 것처럼 보이네요;;
사용하시는 공유기는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녀석인데 말이죠ㅠ
게다가 기사님이 다녀가셨을 때 이러한 문제를 포착하지 못했다니..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1. 혹시 유선속도 측정하실 때 pc 연결순서가 어떻게 되있었나요?
1) 모뎀 -> 링크시스 공유기 -> pc 순인지
2) 모뎀 -> iptime 공유기 -> pc순인지
3) 모뎀 -> pc 순인지 등..
만약 1번이나 3번대로 연결하셨는데 저 속도가 나온 거라면 랜선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고
2번대로 연결하셨다면 공유기나 랜선의 문제일 수 있어서
연결순서를 알면 용의자를 추리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이를 알려주시면 좋겠고요!
2. 연결된 구간들의 랜선을 잘 들여다보시면 cat 5 / cat 5e / cat 6 이런 식으로
자그마한 글씨로 카테고리 규격이 써있는 게 보이실텐데 어떻게 써있는지도 봐주세요~!
cat5e 이상부터 기가비트를 소화하는 지라, 살펴볼 필요가 있거든요
이런 식으로 원인을 찾아가보면 속도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있어서 짚어보고 싶습니다
3. 오! 물론, 통신사를 변경하게 되면 장비도 교체되고 하니 해결될 수 있긴 합니다.
허나 그 전에 타사로 이동하는 게 유의미할 지 계산해보면 좋을 듯 해요~!
만약 타사로 이동시 요금이 크게 인상된다면 KT를 어떻게든 유지보수해서 사용하시는 게 나을 수 있으니까요
하여 비용편익을 비교하기 위해 추가로 질문드립니다.
1) 현재 사용하시는 인터넷/티비요금제와 매월 납부액을 알려주시겠습니까?
(EX. 500메가 + tv슬림 + 기가지니2 사용 = 매월 3.8만원 냅니다 등)
2) buscat님과 가족분들의 휴대폰 통신사 및 요금제를 알려주세요
(EX. 본인: LG, 데이터3.3 / 아버지: SK, 5GX 라지 / 어머니: KT, 데이터ON톡 등)
3) 분가해서 따로 사는 가족이 있다면 어느 통신사의 인터넷을 사용하시는지요?
(EX. 부모님댁에서 KT인터넷 사용중입니다 등)
4) 설치받으실 곳의 정확한 주소를 알려주세요
KT는 유선통신 1인자답게 대칭형(=좋은품질)만 제공하지만,
SK/LG는 주소마다 복불복이라 회선 품질을 조회해보고자 여쭙습니다.
주소는 확인즉시 삭제처리할 테니 안심하고 남겨주세요!
(EX.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273 보람상조빌딩 3층 백메가아파트 101동 103호 등)
이렇게 네가지 질문에도 추가로 답변주시면
KT재약정 vs 타사이동 편익을 비교한 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번거로우시겠지만 이번에도 부탁드리겠습니다~!
2. 랜선은 cat5e 입니다.
3. 1) 기가인터넷 최대500메가 : 21,781원 (TV는 시청하지 않습니다)
2) 본인 KT 데이터선택 43.8 / 어머니: KT 요금제 미확인
3) 부모님댁에서 KT 인터넷 사용 중 (뭉치면 올레 모바일2, 인터넷1, TV1)
4) 경기도 광주시 **대로 ****-** ***동 ***호입니다.
1. 확인해보니 이 곳은 KT, LG 모두 대칭형(=좋은품질)로 원천회선이 짱짱하게 잘 들어가고 있고,
SK는 유일하게 설치불가지역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래서 통신사를 옮기신다면 LG유플러스밖에 선택지가 없는 상황인데요~
2. 납부하시는 요금을 보니 KT 패밀리(인터넷+인터넷결합)을 해두어 저렴하게 쓰시는 듯 합니다.
본래 500메가 인터넷 요금은 33,000원이 정상인데 이를 2.2만원 정도에 쓰시는 걸 보면 말이죠~!
만약 LG 500메가로 갈아타게 되신다면 월 33,000원을 납부하셔야 하고
사은품은 겨우(?) 현금 10만원밖에 지급되지 않는데다가..
설치비 27,500원도 한 번 납부하셔야 해서요! ㅠ
웬만하면 KT를 유지하시되 품질문제를 해소해서 사용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월요금 11,000원차이 * 3년약정동안 누적되면 = 약 40만원인 셈이라... 비용부담이 너무 크거든요 ㄷㄷ
3. 제 의견을 따라 우선 KT를 유지하는 쪽에 힘을 실어주신다면~?! 일단 모뎀/공유기 재부팅을 한 번 취해주세요!
원인불명의 이유로 기가비트 네고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일 수 있거든요!
(이미 기사님께서 재부팅 해주신 것 같다고 말씀하시긴 했지만 돌다리 두들기는 심정으로요!)
4. 그리고 여분의 랜선이 있다면 이를 교체해서 속도측정을 재확인해주시겠어요?
연결구조나, 랜선 카테고리 규격을 보면 문제없어보이는데.. 이 경우 랜선이 용의자일 확률이 매우 높거든요;;
랜선은 사소한 찝힘이나 끊김에도 속도를 잘 유실 하는지라..
백메가에 속도문의 주신 고객님들의 8할은 랜선이 원인이었을 정도로 문제가 자주 일어났었습니다.
그러니 다른 랜선으로 교체해서 확인해봐주시길 바라고요
5. 마지막으로 공유기 제외하고, 모뎀 -> PC를 다이렉트로 연결했을 때에도 속도가 제대로 안나오는지 봐주세요
최근에 구매하신 공유기라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만에 하나 공유기의 문제로 속도가 안나왔을 가능성도 배제하진 못합니다ㅠ
6. 이렇게 해서 만약 KT속도문제가 해결되고 나면 재약정(약정갱신)해서 사용해보셔야 할 텐데요! ㅎㅎ
아쉽게도 이는 KT본사(국번없이 100)으로 진행해보셔야 하는데
패밀리 결합할인을 받고 있는 회선은 아마 큰 혜택을 챙기지 못하실 겁니다^^;
그래도 밑져야 본전이라 생각하시고 속도문제가 해결되고 나면 꼭 한 번 통화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ㅅ<)//
우선 속도문제 해결이 급선무인데 안내드린 순서대로 착착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모쪼록 빠르게 잘 해결되면 좋겠네요 ㅠㅠ
이후 소식도 전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