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서야 통신비의 아까움에 눈뜬 호갱티나는 사람 입니다~
현재 kt인터넷 +TV를 이용중이고 그 옛날 최초버젼의 지니를 사용하고 있으며,
심지어 몇 메가짜리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고 있네요...
가족과 상의 해보니 솔직히 집에서 TV도 거의 안보고 실제로 보는건 넷플릭스,
유튜브, 티빙 같은 OTT위주로 시청중이니,
티비는 미가입, 인터넷 + OTT만 사용(가입) 및 연결해서 보면 어떻겠냐는 의견
이 대세이고 (저도 동의합니다~) 그렇게 해서 통신비를 절감하고 싶네요
[현재조건]
참고로, 저희는 인터넷 + TV의 3년 약정기간이 몇개월전에 이미 지났고 (추가약
정 안했어요) 휴대폰도 2명이 KT를 쓰고 있으나 약정 끝나고 요금할인??만 유지
중이며 가족결합 1명 추가 예정 입니다(초딩)
핸드폰은 둘다 공기계를 구입했던지라, 유심칩만 바꾸면서 통신사 옮기면 됩니다.
문의 1.
저희 동네, 아파트의 대칭형, 비대칭형 통신사가 어떻게 될까요??
(주소: 서울 성북구 돈암동 한신한진아파트)
문의 2.
인터넷만 가입해서 wifi 공유기 등으로 사용 예정인 건,
넷플릭스, 핸드폰 웹서핑, 태블릿 웹서핑, 티빙 또는 웨이브, 디즈니플러스(서비스
시작시) 등으로 예상되요
100M짜리 인터넷 가입만으로 충분할까요??
문의 3.
상기대로 하고 싶을때 어느 통신사, 어느 요금제를 가입해야 할지요....
(솔직히 저렴한 지역 또는 알뜰통신사로 가자는 얘기까지도 있네요)
어떻게 해야 비용적으로 가장 유리할지, 어떤 수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지 감이 잘
안옵니다. 지금 KT TV랑 인터넷 월 요금이 약 5만원 정도 되는 거 같아요 너무 아깝고
호구잡힌 기분이 들어서 솔직히 U+ 같은데로 옮기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오 말씀하신 상황이라면 통신상품을 재정비하기 딱 좋은 시점인데요 +_+
다소 이야기가 길어질 듯하여 아래에서 차근차근 짚어보겠습니다.
1. 인터넷 망 품질
동/호수는 따로 말씀이 없으셔서 임의로 조회해보았는데요~!
1) 일단 KT와 SK는 대칭형 방식으로 깔려있고,
2) LG유플러스는 어떠할지 말씀드리기가 애매합니다^^;;
주택은 전산 확인 정확도가 꽤 높지만
아파트나 오피스텔 건물은 뭉뚱그려 "광랜"이라 표기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안타깝게도 이곳도 같은 상황이거든요ㅠ
안타깝다고 말씀드린 이유는 이 "광랜"이라는 것이
구형 방식의 대칭형인 VDSL(전화선 기반) 망을 의미하는지,
요즘 대칭형 방식인 FTTx 망을 의미하는지,
혹은 비대칭형 방식인 HFC 망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에요.
즉, 정확한 건 기사님 내방을 통해 알 수 있기에
LG유플러스로 가입하신다면 기사님께서 내방하실 때
① 광케이블 기반의 대칭형 망으로 제공되는지?
② 같은 건물 내 인터넷 품질 이슈는 없는지?
이 두 가지를 여쭙고나서 설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_+
만약 하나라도 문제있는 경우, 설치 전에 취소하시면
위약금과 설치비 등 문제없이 깔끔하게 취소할 수 있답니다.
(물론 SK로 이동하시더라도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심정으로
망 상황을 확인해보고 설치 진행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아요ㅎㅎ)
또한, 성북구라면 딜라이브 인터넷 가입도 가능할텐데
만에 하나 비대칭형 방식으로 제공된다면 완전히 비추예요ㅠ
일단 써보겠다고 비대칭형 망으로 제공되는 인터넷을 가입한 분 중에
도저히 못 쓰겠다고 해지하려는 분도 많이 뵈었고,
요금이 저렴하다 해서 위약금도 작은 것이 아니고,
또다시 타사로 이동하셔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기 때문이지요;;
2. 인터넷 요금제
말씀하신 용도라면 100메가급만으로 충분합니다.
단순 웹서핑 정도라면 인터넷 대역폭을 미미하게 차지하고,
넷플릭스, 티빙 등을 통해 아무리 화질 좋은 UHD급 콘텐츠를 시청한다 해도
인터넷 대역폭 25Mbps 전후를 차지한답니다. (이는 100메가급의 1/3도 되지 않아요 +_+)
3. 휴대폰 요금제
세 분께서 사용 중(혹은 예정)인 각각 휴대폰 요금제 명칭은 무엇인지요?
인터넷+휴대폰 결합할인은 결합할 휴대폰 대수 뿐만 아니라
각각 어떤 요금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서도 천차만별이어서 여쭈어요 +_+
현재 사용 중(혹은 예정)인 요금제를 알려주시면
타사 이동 시 엇비슷한 요금제를 사용할 거라는 가정 하에 요금 편익을 계산해보고,
어느 통신사가 유리할지 찾아드리겠습니다.
4. 불필요한 TV상품 가입은 비추
모든 기간망 통신사들이 인터넷+TV 결합상품을 적극적으로 밀고 있어서
인터넷 가입 시 TV 포함 여부에 따라 사은품 차이를 크게 두었어요.
하여 TV도 시청하실 계획이면 함께 가입하는 것이 좋지만
요것이 아니라면 딱 필요한 인터넷만 가입하는 게 옳습니다ㅎㅎ
TV 가입으로 추가될 사은품 혜택보다
3년간 통장에서 빠져나갈 총 요금이 더욱 크기 때문이죠.
(즉,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집니다 ㄷㄷ)
답변이 다소 길어졌는데요^^;
우선 유리한 방안을 찾기 위해 2가지 정보가 필요해요.
1) 세 분께서 사용 중(혹은 예정)인 각각의 휴대폰 요금제 명칭은 무엇인가요?
2) 현재 사용 중인 인터넷+휴대폰 결합상품 명칭은 무엇인지요?
(총액결합할인/인터넷뭉치면올레/LTE뭉치면올레 중 하나일 거예요 +_+)
이렇게요~!
찬찬히 살펴보고 댓글로 말씀 남겨주시면
어떻게 이용하는 것이 좋을지 그 다음 단계(?)로 이어 나가 보겠습니다 😄
(2명다,초딩은 아직 핸드폰 안사줬구요)
2. 결합상품은 총액결합할인이구요
알아보니 인터넛은 베이직(500m)
티비는 라이트
인공지능 기가 2 쓰고있고
기가 와이파이공유기 대여중이네요~
인터넷만 하면 500메가는 12만원 100메가는 8만원 상품권이라고 하구요
이제 KT말고 타통신사쪽 정보를 알고싶어요~
아마 KT 요금, 재약정 혜택 모두 KT 본사 고객센터 통해 잘 안내받으신거겠죠? +_+
우선 두 분께서 타사로 번호이동 시 지금과 동급 요금제로 사용하신다면
SK는 T플랜 에센스(월정액 69,000원),
LG유플러스는 추가 요금 걱정 없는 데이터 69 (69,000원) 요렇게 되어요ㅎㅎ
자녀의 휴대폰 통신사를 어느 쪽으로 두실지 몰라
휴대폰 2대 결합 기준으로 요금 계산을 해드리면,
1) SK 가입 시 (휴대폰 2대 결합 / 공유기 임대 포함)
100메가 인터넷+공유기는 17,490원에 이용할 수 있고요~!
이와 별개로 휴대폰 요금에서 총 -14,300원 할인이 주어져
실제 체감 요금은 "3,190원"이 되는 셈이에요ㅎㅎ
사은품은 전액 현금으로 8만원이 지급되는데
기사님 출동비가 있어서 맨 첫 달 요금에
출동비(설치비) 명목으로 27,500원이 합산 청구됩니다.
2) LG유플러스 가입 시 (휴대폰 2대 결합 / 공유기 임대 포함)
100메가 인터넷+공유기는 16,500원에 이용할 수 있고,
이와 별개로 휴대폰 요금에서 총 -6,600원 할인이 주어져서
실제 체감 요금은 "9,900원"이 되는 셈입니다.
사은품은 전액 현금으로 13만원이 지급되며,
마찬가지로 기사님 출동비(설치비) 27,500원이 있어요.
이렇게 되어요~!
LG유플러스의 사은품 혜택이 좋지만 SK의 할인 혜택이 짱짱한지라
3년간 통장에서 빠져나갈 총 요금을 계산해볼 때 SK가 더 유리하네요^^;;
헌데 이보다 KT의 할인 요금이 더 든든하기 때문에
100메가 인터넷+공유기만 딱 사용하실거라면 KT 유지가 가장 이득입니다 +_+
요약해드리면,
1) SK와 LG유플러스 중 SK가 이득이지만 (휴대폰 2대 결합 기준)
2) KT의 할인 요금이 더 든든하여
100메가 인터넷+공유기만 사용하는 경우, KT 유지가 이득입니다.
아마 배우자와의 상의도 필요하시겠지요~!?
찬찬히 말씀 나눠보시고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