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ISP와 국내 ISP간의 망 교환 대가 부담이 있고,
아무래도 국내 ISP 입장에선 해외로 향하는 데이터 요청이 달갑지 않으니
대역폭에 제한을 두고 있답니다.
만약 기가급(500메가) 인터넷을 사용 중이셔도
최대 누릴 수 있는 해외 망 대역폭은 100Mbps입니다.
그나마 KT는 타사보다 QoS 넉넉히 두어 100Mbps 이상 나오는 분들도 뵈었는데
LG유플러스와 SK 사용자 중에선 뵌 적이 없어요ㅠ
그나저나 속도 측정 결과는
특정 서버 ↔ 라우팅 경로에 따라 천차만별로 나옵니다.
카프님 단말기(컴퓨터)에서 ->
해외에 위치한 특정 서버까지 연결되는 길은 단수가 아닌 복수인데다
각 국가의 통신망을 잇는 해저케이블 및 육상케이블의 종류가 다양하거든요 ㄷㄷ
길과 길을 잇는 라우터(중간 허브지점)도 단수가 아닌 복수이지요.
하여 이상적인(?!) 속도 결과가 나오기 힘듭니다.
여기에.. 실제로 서버와 통신되는 전체 라우팅 경로가 일정할 수 없고,
한 가지 루트가 영속적일 수도 없기에
이후에 속도 측정을 하시면 또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어요ㅎㅎ
즉, VPN 사용이 무조건 해법이 되는 건 아니다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_+
요약해드리면,
1) 해외 망에 대한 대역폭 제한(QoS) 규정은 모든 통신사들이 갖고 있으며,
2) 속도 측정 결과가 이상적으로 나오기 힘들어요ㅠ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우선 해외 망에 대한 대역폭 제한(QoS) 규정은
모든 통신사들이 갖고 있습니다^^;;;
해외 ISP와 국내 ISP간의 망 교환 대가 부담이 있고,
아무래도 국내 ISP 입장에선 해외로 향하는 데이터 요청이 달갑지 않으니
대역폭에 제한을 두고 있답니다.
만약 기가급(500메가) 인터넷을 사용 중이셔도
최대 누릴 수 있는 해외 망 대역폭은 100Mbps입니다.
그나마 KT는 타사보다 QoS 넉넉히 두어 100Mbps 이상 나오는 분들도 뵈었는데
LG유플러스와 SK 사용자 중에선 뵌 적이 없어요ㅠ
그나저나 속도 측정 결과는
특정 서버 ↔ 라우팅 경로에 따라 천차만별로 나옵니다.
카프님 단말기(컴퓨터)에서 ->
해외에 위치한 특정 서버까지 연결되는 길은 단수가 아닌 복수인데다
각 국가의 통신망을 잇는 해저케이블 및 육상케이블의 종류가 다양하거든요 ㄷㄷ
길과 길을 잇는 라우터(중간 허브지점)도 단수가 아닌 복수이지요.
하여 이상적인(?!) 속도 결과가 나오기 힘듭니다.
여기에.. 실제로 서버와 통신되는 전체 라우팅 경로가 일정할 수 없고,
한 가지 루트가 영속적일 수도 없기에
이후에 속도 측정을 하시면 또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어요ㅎㅎ
즉, VPN 사용이 무조건 해법이 되는 건 아니다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_+
요약해드리면,
1) 해외 망에 대한 대역폭 제한(QoS) 규정은 모든 통신사들이 갖고 있으며,
2) 속도 측정 결과가 이상적으로 나오기 힘들어요ㅠ
조금이나마 고민 해소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믿고 문의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