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알려주신 상황만으로는 단서가 너무 부족하여
원인 추측이 불가한데요ㅠ
기본 전제는 1000base(일명 기가급) 협상을 위해선
UTP케이블의 구리선 4페어(8가닥)이 모두 완벽하게 체결되어야 합니다.
또한, CAT.5e 등급은 기가비트를 지원하긴 하나,
이 등급의 차폐율이 현저히 떨어지기에 길이가 50~100m를 초과하게 되면
선로간 아이솔레이션 이슈가 발생하여 대역폭이 저하되어요.
물론 댁내 종단에서 사용하는 UTP케이블 정도야 길이가 짧기에 큰 상관이 없습니다ㅎㅎ
음.. 원인은 크게 2가지예요~!
1. CAE.5e 등급이라 해도 기가급 수용에는 무리가 없지만
제조된지 오래되어 노후화 및 파손이 진행되었을 수 있습니다.
100base, 즉! 100Mbps급 인터넷 시절에는
UTP케이블의 4페어 중 절반만 멀쩡히 작동해도
인터넷 시그널을 받는데 문제가 없었으나,
오늘날 1000base 네트워크는 4페어가 온전히 살아있어야 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1000base를 협상하지 못 하고 100base에서 그치게 되거든요^^;
게다가 UTP케이블이 생각보다 많이 예민하여
작은 찍힘과 눌림에도 속도 저하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즉, UTP케이블을 뽑았다가 다시 꽂아볼 필요가 있고요~!
요것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UTP케이블을 교체해볼 필요가 있어요.
(UTP케이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은 크지 않을 겁니당 +_+)
2. RJ45 단자의 연결이 불량할 수도 있습니다.
즉, 이물질(먼지)가 끼어있거나 연결이 헐거워서 생긴 문제일 수도 있지요.
"에이 설마~"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으나 의외로 많이 일어나는 문제예요ㅎㅎ
그러니 혹시 모를 이물질 제거를 위해
기기들에 연결되어있는 이 단자를 뽑아서 호호(!?) 불어서
다시 한 번 연결해서 사용해보시고 어떤지도 확인해주시겠어요~?
3. 무선 인터넷은 유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속도로 측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더넷(유선)과 같이 Full-duplex 방식의 통신을 하지 않고,
Half-duplex 방식의 통신을 할 뿐더러
유선신호를 -> 무선(802.11xx)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 데다
전체 대역폭의 30% 정도를 패킷 오버헤드로 상실하게 되거든요^^;
여기에 장거리용 주파수 기술이 아닌 단거리용이다보니
직진성과 회절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변환경 요소(간섭과 노이즈)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하기도 해요;;
즉, 댁내 네트워크가 100base로 협상되어 있고,
Half-duplex + 거리 + 간섭 + 패킷 오버헤드 => 이렇게 4종 세트(?)까지 더해져
낮은 속도로 측정될 수 밖에 없지요ㅠ
자, 결론적으로...
1) RJ45단자의 이물질(먼지) 제거를 하는 김에
UTP케이블을 뺐다, 꽂아볼 필요가 있고요~!
2) 요것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UTP케이블을 교체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속도 문제 원인은 UTP케이블이나 단자 훼손인 경우가 많아요ㅠ)
그나저나 혹시 백메가 통해 가입한 고객님이신가요~!?
백메가는 인터넷 가입 유치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인데
어찌하여 이 먼 곳(?)까지 찾아주셨는지 너무나 궁금합니다 +_+
my****
@곽은정답글 감사합니다.
백메가를 통하여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 속도가 느리게 나와서 구글링을 하던 와중 이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어 작성하였습니다.
운영진 곽은정
@my****아하!! 구글링으로 찾아주셨군요 +_+
어제 말씀드린 거처럼 UTP케이블, RJ45 단자가 원인인 경우가 상당히 많았기 때문에
찬찬히 한 번 살펴주세용~!
부디 UTP케이블 체결이 제대로 안 되어있는 간단한 문제여서
바로 촥촥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우선 알려주신 상황만으로는 단서가 너무 부족하여
원인 추측이 불가한데요ㅠ
기본 전제는 1000base(일명 기가급) 협상을 위해선
UTP케이블의 구리선 4페어(8가닥)이 모두 완벽하게 체결되어야 합니다.
또한, CAT.5e 등급은 기가비트를 지원하긴 하나,
이 등급의 차폐율이 현저히 떨어지기에 길이가 50~100m를 초과하게 되면
선로간 아이솔레이션 이슈가 발생하여 대역폭이 저하되어요.
물론 댁내 종단에서 사용하는 UTP케이블 정도야 길이가 짧기에 큰 상관이 없습니다ㅎㅎ
음.. 원인은 크게 2가지예요~!
1. CAE.5e 등급이라 해도 기가급 수용에는 무리가 없지만
제조된지 오래되어 노후화 및 파손이 진행되었을 수 있습니다.
100base, 즉! 100Mbps급 인터넷 시절에는
UTP케이블의 4페어 중 절반만 멀쩡히 작동해도
인터넷 시그널을 받는데 문제가 없었으나,
오늘날 1000base 네트워크는 4페어가 온전히 살아있어야 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1000base를 협상하지 못 하고 100base에서 그치게 되거든요^^;
게다가 UTP케이블이 생각보다 많이 예민하여
작은 찍힘과 눌림에도 속도 저하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즉, UTP케이블을 뽑았다가 다시 꽂아볼 필요가 있고요~!
요것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UTP케이블을 교체해볼 필요가 있어요.
(UTP케이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은 크지 않을 겁니당 +_+)
2. RJ45 단자의 연결이 불량할 수도 있습니다.
즉, 이물질(먼지)가 끼어있거나 연결이 헐거워서 생긴 문제일 수도 있지요.
"에이 설마~"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으나 의외로 많이 일어나는 문제예요ㅎㅎ
그러니 혹시 모를 이물질 제거를 위해
기기들에 연결되어있는 이 단자를 뽑아서 호호(!?) 불어서
다시 한 번 연결해서 사용해보시고 어떤지도 확인해주시겠어요~?
3. 무선 인터넷은 유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속도로 측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더넷(유선)과 같이 Full-duplex 방식의 통신을 하지 않고,
Half-duplex 방식의 통신을 할 뿐더러
유선신호를 -> 무선(802.11xx)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 데다
전체 대역폭의 30% 정도를 패킷 오버헤드로 상실하게 되거든요^^;
여기에 장거리용 주파수 기술이 아닌 단거리용이다보니
직진성과 회절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변환경 요소(간섭과 노이즈)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하기도 해요;;
즉, 댁내 네트워크가 100base로 협상되어 있고,
Half-duplex + 거리 + 간섭 + 패킷 오버헤드 => 이렇게 4종 세트(?)까지 더해져
낮은 속도로 측정될 수 밖에 없지요ㅠ
자, 결론적으로...
1) RJ45단자의 이물질(먼지) 제거를 하는 김에
UTP케이블을 뺐다, 꽂아볼 필요가 있고요~!
2) 요것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UTP케이블을 교체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속도 문제 원인은 UTP케이블이나 단자 훼손인 경우가 많아요ㅠ)
그나저나 혹시 백메가 통해 가입한 고객님이신가요~!?
백메가는 인터넷 가입 유치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인데
어찌하여 이 먼 곳(?)까지 찾아주셨는지 너무나 궁금합니다 +_+
백메가를 통하여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 속도가 느리게 나와서 구글링을 하던 와중 이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어 작성하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린 거처럼 UTP케이블, RJ45 단자가 원인인 경우가 상당히 많았기 때문에
찬찬히 한 번 살펴주세용~!
부디 UTP케이블 체결이 제대로 안 되어있는 간단한 문제여서
바로 촥촥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