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3년마다 찾아오는거 같습니다.
2016년부터 LG TV, 인터넷, 휴대폰(2대)을 사용중입니다.
3년 연장 한번 하였고, 차주에 두번째 만료일이 도래됩니다.
현재 아래와 같이 사용 중입니다.
- 휴대폰 1대 : 69,000원 요금제 (선택약정 25% 할인 받는중)
- 휴대폰 1대 : 33,000원 요금제 (선택약정 25% 할인 받는중)
- 인터넷 : 광기가 슬림 500M (가족무한사랑 유무선 할인)
- U+TV : 일반형
요금은 한달에 85,630원 정도 지출 중입니다.
(휴대폰 1대 35,690원, 다른 1대 24,750원, 인터넷+TV 25,190원)
휴대폰은 약정은 2대 모두 작년 12월 선택약정 1년 연장하여 타통신사 이동시에도
해지 금액 발생은 미비할듯 합니다.
아직 휴대폰이 쓸만하고 S10, 노트9 해서 휴대폰을 바꿀필요는 없을거 같아서
타사 이동시 유심만 바꿔 사용하면 될듯합니다.
제가 고민 중인 사항은
첫번째, SK나 KT 등 타사로 차주에 인터넷, TV, 휴대폰을 모두 이동할 경우와
두번째, LG를 약정 연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데
첫번째의 경우는 현금 수령은 많을것으로 보이나
한달 지출 고정비가 85,630원에서 늘어나고, 최초 설치비, 유심 등 1회성 비용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고,
두번째의 경우는 현금 수령은 적으나, 지출 고정비는 동일하거나, 적어질 것이나
현재 인터넷 기기가 너무 느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도 설치되어있지 않고 너무 버벅되어 교체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서비스센터에 2달전에 교체를 요청하였으나, 기기는 똑같다고 하시고 설치된 앱 등 만 지워주고 가심)
현금수령 금액 등 비교하여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타통신사 이동해도, 기존통신사 유지해도 상관없습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저는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아하.. 상황을 쭉 읽어보니 오래 전에 개통한 상품이라
인터넷과 티비 품질만족도가 많이 떨어져 있는 듯 합니다ㅠ.ㅠ
이때문에 저렴하게 쓰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타사로 이동하는 것도 고려하고 계신 상태시네요..! ㅠ
1. 일단.. 비용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KT나 SK로 이동하는 건 손해입니다.
오래 전에 가입한 상품인 만큼 인터넷/티비요금제 자체가 저렴하고,
현재는 단종된 혜택 낭낭한(!) 결합상품을 이용하고 계신 덕분에
타사와 요금차이가 많이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지금과 동급구성으로 타사를 이동하신다면
아래와 같이 계산 됩니다.
○ KT 이동시
휴대폰 69,000원 요금제 : 선택약정 및 결합할인 후 34,500원
휴대폰 33,000원 요금제 : 선택약정 및 결합할인 후 24,750원
500M 인터넷 : 27,500원
tv베이직(기가지니A셋탑) : 15,400원
=> 토탈 102,150원에 사용하시게 됩니다.
이는 현재 납부요금과 비교하면 한달에 1.7만원 정도 차이나는 것이고
3년간 누적된다고 생각하면 약 61만원 정도의 손해를 보는 것과 다름없습니다ㅠ
신규가입 사은품으로 총 42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결론적으론 돈 더 내고 쓰셔야 하는 셈이지요;;
○ SK로 이동하면 어떨까요?
휴대폰 69,000원 요금제 : 선택약정 및 결합할인 후 45,150원
휴대폰 33,000원 요금제 : 선택약정 및 결합할인 후 24,750원
500M 인터넷 : 21,890원
tv베이직(기가지니A셋탑) : 16,500원
=> 토탈 108,290원에 사용하시게 됩니다.
KT보다 요금이 더 비싸니 계산해보지 않아도 손해란 걸 알 수 있고요;;
사은품은 KT보다 3만원 더 지급되는 총 45만원을 받을 수 있긴 하지만
3년간 매달 내야할 돈이 커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2. 다만, 품질문제를 그대로 안고 사용하기엔 많이 불편하실 테니
LG와 재약정 하시더라도 장비교체는 꼭 진행되어야 할 겁니다.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도 깔리지 않는 구형셋탑이라면
적어도 출시된 지 5년이상 된 모델을 사용하고 계신 듯 하온데..
상대적으로 성능이 많이 떨어지다보니 만족도가 많이 낮으실 테거든요 ㅠ.ㅠ
게다가 오래 사용하셔서 노후화도 되었을 테고 말이죠
하여 이번 기회에 셋탑박스를 교체해보셔야 할 텐데요!
최신형으로 교체하실 경우 월요금 4,400원이 추가될 것입니다.
LG는 3년간 셋탑박스 교체없이 사용하면 임대료가 면제되는 혜택이 제공되고,
납부요금을 보면 이 혜택을 적용받고 계신 걸로 보이는데
셋탑을 교체하면 아쉽게도 이 혜택이 종료되거든요 ^^;
하여,
LG인터넷 + 티비요금은 25,190원 + 셋탑임대료 4,400원 = 29,590원이 될 거고요~
(1월 17일(다음주 월요일)에 신형 셋탑 UHD4가 나올 예정입니다^^~!)
여기에 어떤 재약정 혜택이 제공될 지가 관건인데
시간되실 때 LG고객센터(국번없이 101)으로 한 번 통화해봐주시겠습니까?!
그리고 통화하실 땐 현재 겪고 계신 불편사항을 강조해서 말씀해주세요!
즉... "지금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통신사를 바꾸겠다!!"
라는 뉘앙스로 이야기하시면 상담원분이 위기감을 느끼고 잘 챙겨주려 하실 거에요 ㅎㅎ
통화하신 후 듣고오신 조건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괜찮은 수준인지 확인해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
※ 앗.. 참고로 백메가 통해서도 LG재약정이 가능하긴 하지만..
인터넷요금제를 신형(스마트인터넷)으로 바꾸셔야 하는 조건이 있어서요;;
이때문에 월 4,400원 추가인상되는데, 사은품은 총 21만원밖에 지급되지 않는지라..
본사 조건이 훨씬 좋을 것입니다 ㅠ.ㅠ!! 그러니 본사쪽으로 조건을 한 번 확인해봐주세용~!
3. 자~ 그런데 통화하시기 전에 한가지 확인할 게 있습니다.
그건 바로 Jeon님 댁까지 깔린 LG인터넷 품질이에요.
인터넷 사용만족도는 우리집까지 들어오는 회선이 "대칭형이냐 vs 비대칭형이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만약 비대칭형으로 사용하고 계시다면 장비를 교체해도 품질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겁니다ㅠ
애초에 원천회선 품질 자체가 불량하다면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나 IPTV의 품질이 나아질 리가 없거든요..ㄷㄷ
다행히 이는 전산으로 조회가 가능하기에
댓글로 주소지를 알려주시면 확인해드릴 수 있는데요!
거주하실 곳의 주소를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즉시삭제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0^
[참고글] 통신사 꼼수에 속고 계셨습니다 : 대칭형 vs 비대칭형 (ver2.0)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1162
-----
여기까지 읽으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결론적으로 LG유플러스와 재약정하시는 것이 정답이지만, 대칭형 여부를 살펴보는 게 중요한 문제인데요.
댓글로 설치주소를 남겨주시면 확인해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_+
그럼.. 이번엔 제가 Jeon님의 소중한 회신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거주지 주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역로 **번길 ** (기흥역센트럴푸르지오) 입니다.
하여 원천회선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장비들만 새로 싹 교체받으시면 훨씬 나은 품질로 써보실 수 있을 거에요^ㅡ^
모뎀, 공유기, 셋탑박스 <- 가급적이면 3개의 장비 모두 변경해달라고 요구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물론 설치환경에 따라 모뎀 장비가 없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엔 공유기, 셋탑만 교체하시면 되구용~!
셋탑박스는 귀띔해드린 것처럼 다음 주 월요일(1/17일)에 신형 UHD4 모델이 나올 예정이니
기다렸다가 통화해보셔도 나쁘지 않으실 겁니다 :) 흐흐
그럼.. 한방에 좋은 조건 얻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이외 또 궁금하신 점은 편하게 문의 남겨주세용!!
우선 24만원 지원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알려주신 셋탑박스 UHD 4세대 는 추천하지 않고 3세대를 권유하더라고요.
제가 기왕이면 이번에 나온 4세대가 좋지 않겠느냐 하니까
우선 신규 물량으로 배치가 어렵다, 한참 기다려야 한다, 4세대는 5년 약정이다 (월 4,400원 / 단, 3년 후 해지시 해지금액 없음?)
와이파이 교체시에는 신규 설치비(?) 가 추가로 든다고 하고, 모뎀 교체에 대해서 상담사 분께서 잘 모르시더라고요
(저도 집에 설치된 모뎀이 어떤건지 잘 모르겠음)
4세대로 갈지? 3세대로 갈지? 와이파이 교체 해야할지? 모뎀은 어찌해야할지?
아니면 아예 통신사를 갈아탈지 문의 드립니다.
재약정 혜택은 상품권 24만원만 안내받고 오셨나보네요
셋탑박스/공유기 설치시 출동비가 나온다고 하니 이는 면제받지 못하신 듯 하옵니다😥
이것도 감면해주거나 면제해주었으면 좋았을텐데 말이죠ㅠ
일단 모뎀 교체에 관해 상담원분이 잘 모르셨다면 집안에 설치된 모뎀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모뎀은 설치환경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없어도 인터넷 사용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있거든요 ㅎㅎ
하여 이 부분에 대해선 나중에 LG 기사님이 방문하시면 한 번 여쭤보시는 방향으로 진행하시면 좋겠고요~!
(만약 집안 내 모뎀이 존재한다면 "오래 사용하였는데 교체해주실 수 있는지~" 문의해보는거죠!)
셋탑박스를 어떻게 할 지가 관건인데
3년 뒤에도 LG유플러스를 이어서 사용하실지에 따라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이유를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일단 UHD3 과 UHD4의 CPU 성능차이는 2배가 넘습니다.
CPU는 비유하자면 사람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능이 좋을수록 빠릿빠릿하지요.
UHD3는 15,000DMIPS
UHD4는 35,000DMIPS + NPU(AI연산전용칩셋)의 차이가 있어요
2) 그리고 돌비비전, 돌비애트모스 지원여부도 다릅니다.
UHD3은 두가지 모두 지원하지 않는 반면, UHD4는 이를 모두 지원하고 있어요ㅎㅎ
그래서 영상이나 음향을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면 UHD4를 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물론 TV수상기가 돌비비전/돌비애트모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무의미해지지만요;;)
3) 유튜브/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플레이스토어 사용 등은 두 모델 모두 동일한데요~
4) 안내받으신 것처럼 두 셋탑박스는 "임대기간"이 다릅니다.
※ 임대기간이란?
셋탑박스 교체없이 n년간 사용할 경우, 셋탑박스 임대료가 면제되는 규정입니다.
셋탑박스는 오래 사용할 수록 가치가 떨어지는 장비다보니 통신사들은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고 있거든요.
즉,
UHD3 모델까지는 임대기간이 3년이였고, 3년간 교체없이 사용하면 임대료가 면제되었는데요~
UHD4 모델은 임대기간이 5년으로 늘어났고, 5년간 사용해야 임대료를 면제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여...
CASE1 ) 3년 뒤에도 LG휴대폰, LG인터넷을 쭉 쓰실 의향이 있으시다면
가성비가 괜찮은 UHD3으로 가시는 게 좋고요~!
(성능 면에서도.. UHD3 이 나쁘지 않게 나온 모델인지라 사용하시는 데 불편은 없으실 거에요 ㅎㅎ)
CASE2 ) 3년 뒤에는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겠다! + "기기는 신형이다!" 라는 생각을 갖고 계시다면
가심비(?)가 괜찮은 UHD4를 선택하시는 것도 절대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이옵니다+_+b
어차피 3년간 4,400원 임대료 발생하는 건 동일하니까요ㅎㅎ
이게 제 상황이라면..
특별히 돌비비전/돌비애트모스가 필요하지 않다는 가정하에
가성비 괜찮은 UHD3을 선택했을 것 같긴 합니다만.. Jeon 님의 고견은 다를 수 있겠지요?!
가족분들과 상의해보고 결정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_+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