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서 skb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고정 ip는 추가 금액이 있다보니 그냥 일반적인 유동 ip 방식으로 인터넷을 사용중입니다.
문제는 ip가 매일 바뀌다보니, 재택 근무로 인한 ip 등록을 매일 아침, 가끔은 점심시간에도 다시 하는 등 불편함이 있네요.
고정 ip 서비스를 추가 금액으로 내고 싶지는 않은데, 같은 동료중에 u+ 인터넷을 사용하는 분은 ip 변경이 저만큼 자주 있지는 않다고 하네요.
혹시 u+, kt는 유동 ip라고 하더라도 좀 ip 변경이 덜 하다거나 하는 정보가 있을까요?
보장이야 못해주시겠지만, 일반적으로 알고 계신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변경 의지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IP 주소가 갱신(변경)된다는 것은
1) DHCP 임대를 새로 받았다는 것은 물론이고
2) 내가 할당받은 유동IP 자산이 제3자에게 인계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즉, DHCP 갱신이 IP 변경을 항상 야기하진 않지요^^;;;
ja****님 말씀하신 문제는 SKB의 고질적인(?) 문제가 아닌
댁의 인터넷 연결 구성이 유동 IP 자산을 계속 확보하지 못 하는 상황일 듯합니다ㅎㅎ
쉽게 말씀드려서
공유기와 같이 DHCP 서버 기능을 하는 객체가 댁내에 없거나
PC를 사용하지 않을 때 공유기의 전원을 완전히 끄거나
하는 상황인 것이지요 +_+
하여 현재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즉, DHCP 기능을 가진 기기가 PC 앞에 연결하여 IP를 할당할 수 있게 해주고,
혹시라도 매일 공유기 전원을 끄고 계신다면
24시간 내내 가동시켜서 위에서 말씀드린 1~2번이 거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해요.
느낌적인 느낌엔(?) 매일 저녁에 공유기 전원을 끄고 계시는 상황이 아닐까 싶네용^^;
간혹 요렇게 이용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