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만 알고 있었는데
아래처럼 2종류의 인증이 있더라구요.
1.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 : 특등급 1등급 2등급
2.홈네트워크건물인증 : AAA(홈IoT) AA A
저희 아파트 2종류의 정보통신건물인증 등급 문의차
관리소장과 통화를 했는데,
관리소 내부에 저런 데이터가 없어서
관리소장이 직접 인증기관(아마 정보통신인증센터로 추정)
에 확인했다는데
2009년 8월 이전 인증자료는 확인할수 없고
이후의 자료만 있다고,
이후에 따로 예전 관리소에서 인증을 했다면 있을껀데
안했는지 인증한 결과가 없다네요
저희 아파트 준공은 2008년 9월이고 , 아마 이 당시에
시행사측에서 인증을 받고 그 데이터가 이관이 되면서
관리소 내부에 있어야 정상아닌가 싶은데
2009년 8월 이전 자료는 인증센터엔 없어도
관리소내부엔 그자료가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kt측에서 22년도에 관리소와 협의후(당시엔 이 소장이
아님) 각동 지하통신실에서 전 세대내 단자함까지 광케이블
무료 인입포설까지 했었고,
올해엔 하지 못한 세대들 대상으로 추가 광케이블 인입을
진행하고 있어요.(공사기간 2월~ 4월) ftth작업.
그럼 22년도에 관리소에서 저 광케이블 공사 마친후
등급상승을 위해 인증을 했어야 하는데
당시에도 안한거 같고
이번엔 제가 공사끝난후 인증신청해서 받아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즉, 요지는
지금 it 시대에
인터넷과 통신장비를 사용하는
공동주택같은 아파트나 모든 건물들은
의무?적으로 정보통신인증센터에 인증신청을
해서 인증등급을 받는걸로 압니다.
특히 아파트는 등급이 높아질수록 그 가치가 높아지고
그런 차원에서 관리소에 확인하고 요구한거구요.
관리소에서 정보통신건물인증을 의무적으로 해야하는거
아닌지,
혹은 입주민의 요구가 있으면 당연히 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지
알고 싶습니다
전체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