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Amable님의 글

오피스텔에 KT 500mbps 설치가 되어있는데 실제 속도는 100mbps로 나오는 경우

회원님의 사진
  • Amable
  • 댓글: 3
  • 조회: 1,240

tc_1685699206_3325550.jpg

(현관문 옆 인터넷 단자함 사진)


이사한 지 3일 되었습니다. 월세로 1년 계약했고 기가인터넷을 쓰고 싶어서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방에 iptime 공유기 (A3004NS-M)를 설치하고 랜선 케이블(CAT.8)을 연결했는데 100mbps 아래로 속도가 나옵니다.

집주인분께서 KT 기가인터넷을 신청하셨다고했는데 단자함을 살펴보니 제 방에는 기가인터넷이 설치가 되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KT에 전화해보니 주소지에서 500mbps 사용 중인 부분 확인했습니다.)


1. 500mbps를 사용하려면 KT에 기사님을 불러서 별도의 설치 작업이 필요한 걸까요? 설치 작업을 하면 설치 비용만 들어가는 걸까요? 아니면 따로 통신비를 매달 더 지불해야 하는걸까요?


2. 거실하고 방에 각각 랜선 꽂는 구멍이 있는데 거실에 공유기와 랜선을 연결하면 와이파이는 잡히지만 인터넷은 안되고, 방에 연결하면 인터넷이 됩니다. 문제는 컴퓨터를 거실에 설치한 상태라서 유선을 이용하려면 거실에서 랜선을 끌어와야 하는 상황인 것 같은데, 맞을까요? 이 부분도 기사님을 부르면 거실, 방에서 각각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을까요? (양쪽에 설치할 수 없다면 방에 설치되있는 인터넷을 거실로 끌어올 수 있을까요?)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전문가 분이 답변 해주시는 것 같아서 여쭙게 되었습니다. 고생이 많으십니다 (__)

주소지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로 ** 화운원 ***호 입니다.

전체 댓글3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Amable님~!
    믿고 가입하는, 백메가의 곽은정입니다ㅎㅎ
    오!? 저희 백메가는 인터넷 상품을 판매하는 영리사업자인데
    아마 IT 커뮤니티(?)로 착각하셔서 문의를 남겨주신 거겠지요? +_+
    물론 이 우연한 만남에 감사함을 담아 아는 선상에서 최대한 답변드릴 것인데용..!
    나중에 인터넷이 필요하실 때도 잊지 않고 저희 백메가를 찾아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1. 음.. 먼저 인터넷 속도 측정을 어떻게 하셨는지 정확한 단서가 없어서
    속도 측정 방식이 잘못된건지, 제대로 된 속도가 안 나오고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ㅠ
    혹시 와이파이 속도를 측정하셨거나 기가비트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로 속도 측정을 하셨다면
    속도가 충분히(?) 낮게 나올 수 있어요ㅎㅎ
    500Mbps 속도를 즐기려면 당연히 인터넷을 연결한 단말기도 기가비트를 지원해야 하거든요^^;

    또한 와이파이(무선)는 이더넷(유선)과 같이 Full-duplex 방식의 통신을 하지 않고
    Half-duplex 방식의 통신을 하고요~!
    유선 신호를 → 무선(802.11xx)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 데다
    전체 대역폭의 30% 정도를 "패킷 오버헤드"로 상실하게 됩니다 😅
    게다가 와이파이는 장거리용 주파수 기술이 아닌 단거리용이기 때문에
    직진성과 회절성에 한계도 있고 주변 환경 요소(간섭과 노이즈)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하기도 하지요;;
    Half-duplex + 거리 + 간섭 + 패킷 오버헤드 => 이렇게 4종 세트(?)를 모두 고려하면
    무선은 유선에 비해 속도 측정값이 현~저히 낮게 나올 수 밖에 없고 불안정합니다.


    2. 혹시 인터넷 속도는 어디에서, 어떻게 측정하셨는지요?

    인터넷 속도를 어디에서, 어떻게 측정하셨는지에 따라 측정 속도 결과가 천차만별입니다.
    여기에.. 앞서 말씀드린 거처럼 무선 속도 측정은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니
    유선 연결된 단말기에서 유선 속도로 측정하셔야 하고,
    측정 전에 인터넷 대역폭을 잡아먹는 프로그램이나 스마트폰에 연결된 와이파이 등을 모두 꺼야 합니다.

    속도 측정이 상당히 까다롭고 복잡한 일이기 때문에
    앞서 살짝(?) 말씀드렸듯이 어떤 측정툴을 쓰냐에 따라서도 결과 차이가 있어요^^;
    Amable님과 통신사 간의 통신 상황(속도와 끊김)을 제 3자(측정툴)가 알기 위해서는
    통신 내용이 측정툴 서버를 거쳐가야 한답니다ㅎㅎ

    내 단말기(컴퓨터) → 내 통신사 기간망 (라우터 등) → 측정툴에서 운용하는 서버
    이렇게 말이지요~!

    하여 측정툴(앱)의 서버 사정에 따라 속도 측정값이 천차만별이기에
    (물론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 스펙도 결과에 영향을 줍니다 😢)
    적어도 2개 이상의 인터넷 속도 측정 도구 결과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 백메가에선 벤치비와 통신사에서 직접 제공하는 툴을 많이 추천드리고 있어요 +_+
     - 참고 링크: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31087


    3. 어떤 상황인지 조금 헷갈리는데유..ㅠ
    "2번" 문제의 요지는 컴퓨터를 유선 연결로 이용하고 싶다는 것이겠지요~?
    아마 거실에 공유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듯한데
    그렇다면 공유기의 랜포트 ↔ 컴퓨터를 랜선으로 연결하여 유선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호오옥시 요렇게 연결하신 것이 맞는지요? ㅎㅎ
    다시 한 번 연결 방식을 살펴봐주시겠습니까? 😆


    결론적으로,
    Amable님께서 남겨주신 내용만으로는 단서가 부족합니다ㅠ
    하여 아래 3가지를 확인해 주시겠습니까?

    1) 인터넷 속도는 어디에서(측정 툴의 명칭),
    어떤 방법(예를 들면, 컴퓨터로 유선 연결하여 측정)으로 측정하셨는지요?

    2) 컴퓨터에 유선 연결하여 벤치비에서도 속도 측정을 해보시고, 결과값을 알려주시겠습니까?

    3) 거실에 공유기 /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공유기의 랜포트 ↔ 컴퓨터를 랜선으로 연결해 보셨나요?

    더욱 구체적인 단서를 알려주시면 시도해볼만한 해결책이 있을지 함께 고민해 드리겠습니다^^
  • 회원님의 사진 Amable
    @곽은정안녕하세요 저도 글을 쓰고 나서 인터넷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ㅠㅠㅋㅋ 나중에 이사를 한다면 꼭 여기서 가입을 고려해보도록 하겠습니다ㅎㅎ

    1, 2. 세 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 fast.com (넷플릭스)
    - speedtest.net (Ookla - Seoul server)
    - speed.kt.com (KT 공식)
    제가 본가에서 기가 인터넷을 쓸 때는 무선 와이파이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측정했을 때 500mbps에 가까운 다운로드 속도가 측정되었었는데요. 아무리 품질이 떨어진다지만 100mbps 이하로 계속 나온다는 게 결국 기가 인터넷 연결이 되있지 않다는건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 여쭈어 본것이였습니다. 유선연결은 나중에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업데이트) Apple M1 Max에 유선 연결도 시도해보았으나 여전히 100mbps가 나옵니다. ㅠㅠ
    찾아보니 단자함에 연결된 랜선이 2pair로 되있는 경우 증폭이 필요하다고 해서 중간에 iptime h6008-igmp 스위칭 허브를 구매해서 연결해봤는데 여전히 100mbps가 나오네요.. (거실 랜선 - 스위칭 허브 - 맥 유선 연결 / 거실 랜선 - 스위칭 허브 - 공유기 연결 둘 다 시도해봤습니다)

    3.
    As-is
    거실(컴퓨터 - 무선 연결) - 복도 - 방(공유기)

    To-be
    거실(컴퓨터 - 유선 연결, 공유기) - 복도 - 방

    요렇게 바꾸려고 하는데, 거실에 있는 랜선이 무용지물인 상황입니다. (인터넷 연결 신호가 없음)
    그래서 거실에 인터넷 연결 신호가 가도록 하고 싶은데, 이게 가능한지가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단자함 사진도 첨부한거였습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AmableAmable님~! 좋은 아침입니다ㅎㅎ

    사진으로 촬영해 주신 원텐블럭과
    텍스트로 기술해 주신 댁내 서브넷 구조도만으로는
    정확한 미싱링크를 특정할 수 없습니다;;
    제가 이전 답변에 말씀드린 줄 알았는데 빼먹었네유ㅠ
    또한 인터넷에 있는 여러 누리꾼(?)분들의 정보들이 뒤섞여져
    실타래를 꼬이게 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


    1. KT는 IGMP(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응용하여 증폭을 취하지 않기에,
    IGMP지원 스위치 허브를 들여놓아도 문제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ㄷㄷ
    말씀해 주신 방법은 SK브로드밴드에서 취하는 방식이에요.

    2. 결국 원텐블럭에서 2Pair이니,
    댁내 서브넷의 시작점이자 분계점인 공유기 바로 전단에 증폭모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위치는 거실이 되어야 하겠지유~?! +_+

    3. 한편 거실의 벽면랜포트가 활성화되어야 위 2번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원텐블럭에서 별도의 작업을 취해야 합니다.
    사용자 DIY를 할 수 있긴 하나,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유튜브 등에 원텐블럭 직접 시공 사례를 찾으면 정보 많이 나와요 😊

    4. 하지만 위 2~3번을 직접 수행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지식과 경험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직접 수행하기 번거롭고 어려운 경우에는 기사님 호출이 가장 경제적이지요~!


    결론적으로..!
    기사님을 호출하여 지금 이 글처럼 Amable님의 니즈를 잘 기술해 주시면
    되는 이유, 안 되는 이유를 현장에서 검증해 주실 겁니다ㅎㅎ
    즉 확실한 건 기사님께서 현장을 나가봐야 알 수 있어요.
    부디 작업이 가능한 상황이어서 원하시는 방향대로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 문의게시판
  • 검색어: 사업자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